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77)
빈맥 - 심실상성 - 조기흥분증후군(WPW) 요약 WPW증후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부정맥은 PSVT 그 외에도 AF, antidromic AV reentry 등 발생 가능 전형적인 심전도 소견 (델타파 δ) 조기흥분증후군 (WPW, Wolff-Parkinson-White syndrome, Pre-excitation syndrome) : 정상 전도로 이외에 부전도로 (bypass tract) 존재 - 이 자체로는 증상 X - 다른 부정맥 (AF, PSVT) 합병시 문제가 된다 1. 임상소견 : 심실상성인데도 불구하고 wide QRS 이다 ECG 특징 - Short PR (0.12초 미만) - δ파 (⨏⨍⨛⨜↝ 요런 느낌...) : QRS군 초기에 보이는 비스듬한 상승 모양 - Wide QRS 2. WPW 증후군에서 합병되는 부정맥 : WPW..
빈맥 - 심실상성 - PSVT 요약 : 기저질환 없는 젊은 환자가 갑자기 발생한 두근거림으로 내원 : narrow QRS, regular , adenosine 투여시 정상 (cf. AFL은 adenosine 투여시 톱니바퀴) 두근거려서 옴 - 쿵 (APB, VPB) / 갑시갑끝 (PSVT)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PSVT (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ardia) 1. 기전 : 샛길이 하나 더 생긴거라고 생각 (PSVT, WPW) 2. 증상 : 심계항진, : 혈압 저하, 실신 : 심부전 3. 검사 - 내원시 증상 없는경우 24시간 홀터검사 진행 ( cf. 하루에 몇 번 - 24시간 홀터검사 1달에 몇 번 - 활동 사건 기록기 1년에 몇 번 - 삽입형 루프기록기 [약1년반, 최대 3년] ) - ECG : P..
빈맥 - 심실상성 - 심방세동 / 심방조동 빈맥성 부정맥 - narrow QRS (심실상성) → regular - PSVT ( Adenosine 투여시 정상 ) / AFL (투여시 톱니바퀴) → irregular - AF (7일 이내 - Cardioversion / 7일 이후 - rate [BB, non- DHP CCB] , 응고(차드박) [wafarin→DOAC] ) 1. 심방세동 / 잔떨림 ( Atrial fibrillation, AF ) : 심방 내 여러부위(특히 pulmonary vein 근처)가 계통없이 빠르고 불규칙하게 흥분 유발인자 - 지속성 AF : 류마티스성 심질환, 퇴행성 승모판 질환 (MS의 원인들) ( MS 발생시 LAE[좌심방확장] → 순환회로 형성 잘이루어짐 → AF 잘발생 ) - 갑상선 기능항진 심전도 소견 - narr..
빈맥 - 조기 박동 (심실상성 - APB / 심실성 - VPB) 요약 : 정상인에서 흔히 관찰 : 이상한 QRS 섞여있는 경우 갑작스럽게 가슴이 두근거린다 - APB, VPB, PSVT → 갑자기 쿵 : APB, VPB → 갑자기 시작해서 갑자기 끝남 : PSVT 1. 심방조기박동 (APB, Atrial Premature Beat) : P파 O : 갑자기 심방이 빨리 뛴다 검사 - 증상 있을 때 심전도를 봐야하므로 24시간 홀터검사 치료 - 증상 X : 치료 불필요 - 증상 O : 안정, BB 도움 2. 심실조기박동 (VPB, Ventricular Premature Beat) : P파 X : 심실이 심방보다 먼저 뛰어버리는 것 ECG 소견 - 선행하는 P파가 없는 / 넓고 이상한 모양의 QRS ( QRS 사이의 크고 넓고 이상한 QRS ) ( 갑자기 심실에서 신호가 ..
서맥 - 전도장애 - 각차단 (Bundle Branch Block) RBBB - 경과관찰 LBBB - 심초음파 검사 ( 심장의 구조적 이상 가능 ) 1. 우각 차단 (RBBB) ECG 파형 : V1의 토끼 귀 : V6의 뒷다리 도움 닫기 (slurred S) 임상상 : 기저 구조적 심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가능 ( LBBB보다 흔함 ) : ASD(심방중격결손) , 판막질환, 허혈성 심질환에서 동반 치료 → 대부분 경과 관찰 → 병력상 이상O (증상O - 호흡곤란, 부종) : 심초음파 2. 좌각 차단 (LBBB) ECG 파형 : V1의 넓고 아래로 내려가 있는 QRS : V6의 넓고 위로 묵직한 QRS 임상상 : Coronary heart dz : Hypertensive heart dz : Aortic valve dz : Cardiomyopathy 치료 : 현재 증상이 없어..
서맥 - 전도장애 - 방실차단 (AV block) 거의 유일하게 ECG 보고 진단명 맞추는 문제 1. 이탈박동 (escape beat) : 동결절의 자동능이 저하되어 동결절 이하의 자극전도계가 자극형성을 담당 ⨠동결절이 아닌 다른 자극 전도계가 전기자극형성 2. 원인 - 약물 : BB, CCB, digitalis → 약물원인이면 치료로 중단 - 심근경색 ( 특히 하벽부 경색 ) ⇨ 심근경색의 합병증으로 방실차단 나올 수 있음 ⇨ Ⅱ, Ⅲ, avF ( inf. wall infarction )가 침범된 inferior wall MI에서 / 서맥 나타나면 / 방실차단 ! ⇨ 치료는 역시나 증상있으면 pacemaker 3. 분류 1) 1도 방실차단 (P파 O) : 방실전도 지연 - PR 간격이 길다 2) 2도 방실차단 (P파 O) : 간헐적인 방실 사이 전도 ..
서맥 - 동결절 기능장애 (Sinus node dysfunction) 1. 정상 동율동, 동빈맥 정상 : 심박수 60~100/min 동빈맥 : 심박수가 그냥 100회 넘는 것 - P파가 QRS파 앞에 꼭 나온다 ( cf. P파 없으면 PSVT ) - 발열, 탈수, 갑상샘 항진증에 대한 생리적 반응 - 목동맥 팽대 자극시 '서서히' 정상 동율동으로 전환 ( PSVT에서는 목동맥팽대 자극시 '갑자기' 빈맥이 정상화 ) 치료 : 1. 기저질환 치료 2. 빈맥으로 위험해질 수 있는 상황 or 갑상선 기능 항진증에서 beta blocker 사용 2. 동기능부전증후군 (sick sinus syndrome) = 증상 ( 실신, 현기증, 운동시 호흡곤란 ) + 심전도 이상 (동서맥, 동정지, 동방 차단, 빈맥 - 서맥 증후군) 증상 + but, 정상 ECG → 24시간 심전도 검사 ( ..
부정맥의 분류 부정맥의 기본 분류 체계 서맥성 부정맥 - 동기능 장애 : 동방결절 문제 ( 동방결절에서 전기신호를 잘 못줌 ) : Sick sinus syndrome : 동방차단 ( sinus exit block ) : 빈맥, 서맥 증후군 - 전도 장애 : 전도 문제 ( 자극이 전도 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김 ) : 방실차단 : 우각차단 / 좌각차단 빈맥성 부정맥 - 심실상성 ( 심실 위의 문제 ) : 조기심방박동 : 심방세동/심방조동 :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: WPW syndrome - 심실성 ( 심실 자체의 문제, ventricle이니 "v"로 시작함 ) : 조기심실박동 : 심실빈맥 : 심실세동 / 심실조동 부정맥 만나면 할 일 1. 서맥 빈맥 나누기 2. 서맥 : P wave 찾아서 QRS 파악 => 정확한 진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