순환기내과 (49) 썸네일형 리스트형 NSTE-ACS (Non ST-segment 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) Acute coronary syndrome (ACS) : UA + NSTEMI + STEMI 주기전 - plaque의 cap이 터지거나 fissure가 생겨 혈소판이 활성화되어 acute thrombus에 의해 혈류가 막히는 것 NSTE-ACS = UA + NSTEMI UA (심근효소 상승X), NSTEMI (심근효소 상승O) 1. 정의 세 가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해당되는 흉통 ① 휴식시 발생 ② 심하거나 새로 발생 ③ Crescendo pattern - 이전보다 심해짐, 지속시간 증가, 빈도 증가 2. 병태생리 원인 - Atherothrombus (m/c) - Coronary spasm - 빠르게 진행되는 관상동맥 죽상경화증 3. 진단 - 임상적 병력 (m/i) : UA - ECG : ST segm.. 변이협심증 (Prinzmetal's variant angina) 휴식 시 흉통 발생 (Unstable angina) + 흉통시 ST elevation (STEMI) + nitroglycerin에 의해 쉽게 호전 + 젊은 성인에서 새벽에 발생하는 흉통 = 변이협심증 ! 1. 임상양상 - 운동과는 무관한 통증 - 한밤 중이나 새벽 (특히, 그 전날 술을 마신 경우)에 발생하는 흉통이 특징 2. 원인 - Coronary artery의 국소적 spasm - 많은 환자에서 spasm이 일어나는 부위 근처에 atheromatous plaque 발견됨 3. 진단 안정시 흉통 + 흉통시 ST elevation = 변이협심증 임상적 진단! 확진검사 : 관상동맥조영술 (심장동맥조영술 및 유발검사) - 구조적 협착 소견은 없음 (정상) - Ergonovine, Acetylcholine으.. 관상동맥조영술 (Coronary angiography) 1. Stable angina 적응증 - 내과치료에도 협심증이 조절되지 않고 증상이 심해서 재관류(PCI,CABG) 고려할 때 - 진단이 어려운 환자가 관상동맥질환을 확진하거나 배제할 필요가 있을 때 - 심장마비(MI)에서 살아남은 환자 - Ventricular dysfunction의 증거가 있을 때 - 비침습적인 검사결과 or 부하검사결과에서 심한 관상동맥 질환( high risk 소견)을 보인 angina pectoris 환자 - 타인의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직업 (경찰, 소방관, 파일럿, 버스운전기사)을 가진 사람이 의심스러운 증상이 있음 - Valve repair/replacement 등의 심장수술을 받을 예정인 45세 이상 남자, 55세 이상 여자 2. NSTE-ACS 적응증 - 휴식시나 적은 .. 안정협심증 약물치료 치료라기보다는 악화되지 않도록 유지 ! * 동맥경화 위험요인 교정 - 금연, 체중조절 - 지질강하제, 경구혈당강하제, 항고혈압약제, 엽산 증상완화 약물 1. Nitrate : 협심증의 치료에 가장 핵심 : 혈관 확장 2. BB : 고혈압 동반시 TOC : MI 후 생존율의 증가 상대적 금기증 - Unstable HF - sBP 안정협심증 (Stable angina) 운동을 하면 가슴이 몇 분간 조이듯 아파요. 그리고 쉬면 괜찮아져요. 1. 병력 기간 : 2-10min (crescendo-decrescendo pattern) - 10분 안팎으로 지속 ! 방사부위 : 왼쪽어깨, 양팔 악화인자 : 운동, 스트레스, 추위, 식후 2. 진단 - 전형적 증상 (m/i) - Stress test (x3) :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를 확인하고 필요한 처치를 계획하기 위함 ① Treadmill exercise ECG (운동부하 심전도 검사) 적응증 - Resting ECG 정상 & Digoxin 복용X & 운동가능 결과 - ST depression : Stable angina (Unstable angina는 애초에 안정시 통증이므로 이런 검사 할 수 없음) ② Stress myoca.. 허혈성 심장질환의 개관, 흉통 * 허혈성 심장질환 개요 Stable angina : Atherosclerotic change로 단순히 coronary a.가 좁아짐 Acute coronary syndrome (ACS) : 좁아져있던 혈관이 thrombus로 막힘 Acute Myocardial Infarction (AMI) : 심근괴사 (O) → 심근효소 (troponin, CK-MB) 상승 (O) NSTE-ACS (non ST-elevation ACS) : UA와 NSTEMI가 전자는 경미, 후자는 위중한게 아니라 STEMI로 진행하는 하나의 연속선상에 있는 질환임을 강조 STEMI : 심근벽 전체 괴사 : ECG상 STE (O) Unstable angina : 심근괴사 (X) → 심근효소 상승 (X) NSTEMI : ECG상 STE.. 감염 심내막염 - 치료와 예방 혈관내에 감염이 있는 것이므로 IV로 항생제 투여 ! 반드시 입원치료 필요 기본이 4주 1. 치료 ① 경험적 항생제 혈액배양 직후 : Vancomycin + gentamycin ② Streptococci ( Viridans [m/c], epidermidis / S.pneumoniae는 X ) : Penicillin G (4주) ③ Enterococci : Penicillin G(ampicillin) + gentamicin (4-6주) ④ Staphylococci : Nafcillin or oxacillin (4-6주) + gentamicin (3-5일) 2. 수술적 치료 : 적절한 환자에서 적절한 타이밍에 적용 적응 대상 - 부분적으로 터진 인공판막 - 2주 이상 항생제에도 효과 X - 지속되는 bact.. 감염 심내막염 - 증상 및 진단 열 + 심잡음 = 감염 심내막염 의심 진단 = 혈액배양법 & 심초음파 1. 임상양상 = 열 + 심잡음 암기법 : FROM JANE F : Fever (80~90%) R : Roth's spot - 백혈구가 응집된 백점을 출혈이 둘러싸고 있는 형태의 망막출혈 O : Osler's node - 손, 발에 빨간빛의 통증 O 결절 M : Murmur (80~85%) - MR,AR.. J : Janeway lesion - 손, 발에 빨간빛의 통증 X 점 A : Anemia N : Nail hemorrhage (splinter) - 손톱 밑에 빨간 점처럼 출혈이 일어남 E : Embolism 2. 검사소견 - Anemia, leukocutosis - Microscopic hematuria (현미경적 혈뇨) - ES.. 이전 1 2 3 4 ··· 7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