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순환기내과/심부전

(6)
폐성심 (Cor pulmonale) 폐성심 = 폐에 영향받은 심장 Right HF가 일어나는 상황이기 때문에 RV preload가 증가할 수 있는 상황 (예,들숨)에서 증상 변화 나타날 수 있음 1. Cor pulmonale & normal RV circulation Cor pulmonale란 : 일차적으로 폐 또는 흉강의 환기/혈액관류에 장애가 생겨 유발된 RV failure 2. Cor pulmonale의 원인 - RV afterload의 상승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① Pulmonary vascular dz : pulmonary blood flow 감소 초래 (외부적 요인 [폐혈관]) - 원인 : Pulmonary embolism, pulmonary vasculitis, pulmonary vasoconstriction, L..
디지탈리스 중독 (Digitalis intoxication) Digitalis 계 약물중 하나가 Digoxin ..? - digoxin, digitoxin 증상 + 전해질 이상 + ECG 이상 ⇒ 디지탈리스 (+ 구역, 구토) + 심방세동으로 약먹고 있음 1. 증상 - 소화기 증상 : 식욕부진, 오심, 구토 - 부정맥 : VPC (Ventricular Premature Complex), 서맥 - 신경학적 증상 : yellow vision 2. 검사 - Serum K, Mg, Ca level HyperKalemia 유발 (이뇨제 먹는 환자만 hypokalemia) - BUN/Cr - Serum digoxin level 측정 (주로 2 초과일 때 증상유발) (therapeutic level : 0.5 - 2.0) - ECG 3. 치료 디곡신 중단 ! + 일시적 심장박..
급성 비보상성 심부전 및 급성 폐부종 급성 비보상성 심부전 Acute decompensated HF = 심부전이 갑자기 악화되는 경우 1. 치료의 목표 ① 증상을 일으킨 혈역학적 상태를 안정화 ② 가역적인 원인을 찾아서 치료 ③ 질병의 진행 및 재발을 막기위한 효과적인 약물 요법 만성 심부전 : 장기 생존율 향상 ( 몇 주 , 몇 개월 ) 급성 심부전 : 증상 개선 ( 몇 일 ) 2. 급성 심부전의 원인 다양.. Ischemic heart dz - 우리나라의 m/c 3. 분류 및 치료 * 급성 심부전의 원인 4가지 * CI (Cardiac Index) : 낮아질 수록 CO 낮아짐 - 심장 문제라는 뜻 warm = 정상 + 정상 Profile A ( warm and dry ) : 정상 or 심장외 원인 = 정상 + 폐 문제 Profile B ..
만성 심부전의 치료 1. 만성 심부전 치료의 개요 심부전 진단시 폐에 물이 차있는지 확인 ( 거품소리, xray상 폐가 하얗다 ) ① 물O : 이뇨제 ② 물X : ACEi, BB 실패시 →ARB, Aldosterone antagonist Hydralazine/isosorbide, ARNI, Ivabradine 2. 일반 처치 - 일상적인 운동 - Na 제한 3. HFpEF (EF이 유지 [>40-50%] 되는 심부전) 치료 = 이완기 심부전 - 아직 효과가 입증된 치료는 없음 So, 원인 기저 심질환 (MI, HTN)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 호흡곤란시 : Na제한, 이뇨제, nitrate, ACEi/ARB, BB 4. HFrEF (EF이 감소 [
심부전의 원인, 증상, 진단 1. 심부전의 원인 1) 원인 인자 : Ischemic heart dz - 예방 가능한 원인 : Cardiomyopathy : Congenital, valvular, hypertensive heart dz - 교정 가능한 원인 2) 악화요인 : Infection : Arrythmia : Myocardial infarction : 고혈압의 악화 : 심근염 : Infective endeocarditis 2. 심부전의 분류 나누는 기준 ( Ejection Fraction = 구출률 = 심장에서 피를 내보내는 양과 관련 ) - EF가 40% 미만 심부전 = HFrEF 그 사이 = borderline EF - EF가 50% 이상 심부전 = HFpEF ( HFpEF는 심장의 이완기능 이상뿐만 아니라 심장외요인[혈관..
정상 심장 vs 심부전 심부전 (Heart failure) 정의 : 심장이 지친 상태 : 대사 요구량만큼의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심장의 수축/이완 기능과 관련된 구조적, 기능적 이상 상태 : 장기간 심장 기능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상태 - 진단명이 아닌 하나의 상태 ! 원인 : 판막질환, 허혈성 심장질환, 심근질환, 고혈압 : 빈혈, 갑상선 기능항진증, 빈맥 ... - 심장에 과부하를 줄 수 있는 모든 상황에서 유발 가능 기전 : 수축기능의 이상 - Cardiac output ↓ : 이완기능의 이상 - HCMP, RCMP, AS 심근손상 ← 영구적 심근손상 ↓ ↑ 심장 기능 저하 ↚ 이걸 끊어주는 약들 = RAAS, 교감신경계 억제 약물 ACEi, ARB BB Aldosterone antagonist ↓ ↑↑ RAAS, SA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