치료라기보다는 악화되지 않도록 유지 !
* 동맥경화 위험요인 교정
- 금연, 체중조절
- 지질강하제, 경구혈당강하제, 항고혈압약제, 엽산
증상완화 약물
1. Nitrate
: 협심증의 치료에 가장 핵심
: 혈관 확장
2. BB
: 고혈압 동반시 TOC
: MI 후 생존율의 증가
상대적 금기증
- Unstable HF
- sBP <90mmHg
- AV 전도장애
- HR <60
- 천식
- 말초동맥질환 (Raynaud's 현상)
* B-adrenergic *
B1 : 심장의 CO, 심박수 모두 증가
B2 : 모든 smooth m.을 이완 ( 혈관 이완 )
ㄴ B- agonist : 천식에서 기관지 확장제로 사용
(Ritodrine : 자궁수축 억제제)
ㄴ B- blocker : smooth m. 수축
* BB 금기 *
기관지가 수축하게 됨 → 천식에서 금기
말초동맥 수축하게 됨 → 레이노드에서 금기
Coronary a. 수축하게 됨 → variant angina에서 금기
급성심부전에서 금기
3. CCB
: BB 못쓰는 경우 사용
* Calcium channel blocker *
DHP CCB : 혈관에 작용 → 이완 ( -dipine)
적응증 - 변이형 협심증, 레이노드병
non-DHP CCB : 심장에 작용 → 심근수축력 감소, 심박수 감소
Verapamil : BB와 병용 금기
Diltiazem : 주의하여 병용
Variant angina 치료도 가능하지만 DHP CCB가 효과좋음
* CCB는 심부전에 금기
MI 예방 및 사망률 감소 위한 치료
1. Aspirin (thrombus 형성막음)
2. BB
3. ACEi
4. Statin
외우는 법
: 허혈 아파서 △◳년아아 CBNAA (CCB, BB, Nitrate, ACEi, Aspirin)
: 예방하기 위해서 아빠찬스써 ABAS (Aspirin, BB, ACEi, Statin)
'순환기내과 > 허혈성 심장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변이협심증 (Prinzmetal's variant angina) (0) | 2021.11.04 |
---|---|
관상동맥조영술 (Coronary angiography) (0) | 2021.11.04 |
안정협심증 (Stable angina) (0) | 2021.11.03 |
허혈성 심장질환의 개관, 흉통 (0) | 2021.11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