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77)
대동맥판 역류 (AR, Aortic regurgitation) 1. Etiology - 류마티스열 (2/3) - 강직성 척추염 - bicuspid vlave - 매독 2. Pathophysiology 3. Symptoms of chronic AR - 운동시 호흡곤란 - Head pounding (systole 때마다 몸이 흔들리거나 고개가 끄덕끄덕함) : 체순환에 필요한 혈액 + 역류하는 혈액 = 대동맥판 지나가므로 고속의 혈류 발생하여 생김 4.Physical findings Erb's area = Left lower sternal border = 3rd ICS 에서 들리는 이완기 잡음 - 앉은 자세에서 앞으로 기대고 숨을 다 내쉰 다음 청진 ( 대동맥을 앞으로 하고 공기 없애서 가까이) 5. Laboratory examination - ECG : LV hyper..
대동맥판 협착 (AS, Aortic Stenosis) 1. Etiology 원인 - Age related degenerative calcification (m/c) (AS는 퇴행성 질환이니까 AS를 받아야한다!) - Bicuspid valve - 류마티스성 심내막염 - HCMP 2. Pathophysiology - LV outflow tract obstruction → Concentric LV hypertrophy 3. Symptoms and natural history - 3대 증상 : S A D Syncope (실신) Angina pectoris (흉통) exertional Dyspnea (운동시 호흡곤란) - Forward : CO 감소에 의한 증상 - Backward : 폐부종, RVF - 심장 자체 : 심비대로 인한 허혈 증상 4. Physical..
승모판 탈출 (MVP, Miral valve prolapse) HCMP와 함께 조작에 따른 심잡음 변화 양상이 특이한 질환 1. Etiology and clinical features : MVP = Systolic click murmur syndrome 수축기 클릭 심잡음 : Posterior leaflet이 더 흔히 침범 ( mvP니까 Post ! ) 2. Diagnosis : MVP는 심실 수축기 승모판이 LV의 압력을 버티다가 Post. leaflet이 퍽하고 풀려버려 (mid or late systolic click) 좌심방으로 쏠린다고 생각 따라서 승모판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고 MR이 생김 - 청진 : 심첨부에서 수축기 잡음이 들리며 겨드랑이로 방사 - 심초음파 3. 치료 무증상 : 치료하지 않는다 (안심!) - 흉통, 두근거림 : BB - Severe ..
승모판 역류 (MR, Mitral regurgitation) 승모판 역류 = 승모판 폐쇄부전 1. Etiology : 원인 많음 - 급성심근경색 이후 papillary muscle의 손상 - HCMP - Infective endocrditis - Miral valve prolapse (MVP) 2. Pathophysiology - Acute MR : Pulmonary congestion, pulmonary edema - Chronic MR : CO 감소가 main → severe fatigue, AF가 자주 동반 3. 증상 4. 청진 : Apex에서 잘 들리는 수축기 잡음 - S2 : Wide splitting (A2가 일찍 닫힘) - Holosystic murmur 5. 검사 - 심초음파 : LV에서 LA로 regurgitation 6. 치료 ① Chronic ..
승모판 협착 (MS, Mitral Stenosis) S1 Systole S2 Diastole S1 AS/PS MR/TR MVP ( 여기에 ASMR만 채우면 다 채울 수 있음 ) AR/PR MS/TS * 심도자 소견 솟은 봉오리 = 수축기 내려가있는 상태 = 이완기 높이 솟은 봉오리 = Lt. ventricle 낮은 산 = Lt. atrium = PCWP 맨위 선 = artery (aorta) MS : 이완기에 atrium (LA) = PCWP 가 Lt. Ventricle 보다 높다 - 원래 이완기에 심방 = 심실인데 심방이 더 높은건 심실로 피가 못가기 때문이다 AS : aorta (artery) 보다 Lt. Ventricle의 압력이 더 높다 MR : 좌심방에 혈액이 역류해서 수축기때 좌심방 압력이 올라간다 AR : ?? 1. General consid..
폐성심 (Cor pulmonale) 폐성심 = 폐에 영향받은 심장 Right HF가 일어나는 상황이기 때문에 RV preload가 증가할 수 있는 상황 (예,들숨)에서 증상 변화 나타날 수 있음 1. Cor pulmonale & normal RV circulation Cor pulmonale란 : 일차적으로 폐 또는 흉강의 환기/혈액관류에 장애가 생겨 유발된 RV failure 2. Cor pulmonale의 원인 - RV afterload의 상승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 ① Pulmonary vascular dz : pulmonary blood flow 감소 초래 (외부적 요인 [폐혈관]) - 원인 : Pulmonary embolism, pulmonary vasculitis, pulmonary vasoconstriction, L..
디지탈리스 중독 (Digitalis intoxication) Digitalis 계 약물중 하나가 Digoxin ..? - digoxin, digitoxin 증상 + 전해질 이상 + ECG 이상 ⇒ 디지탈리스 (+ 구역, 구토) + 심방세동으로 약먹고 있음 1. 증상 - 소화기 증상 : 식욕부진, 오심, 구토 - 부정맥 : VPC (Ventricular Premature Complex), 서맥 - 신경학적 증상 : yellow vision 2. 검사 - Serum K, Mg, Ca level HyperKalemia 유발 (이뇨제 먹는 환자만 hypokalemia) - BUN/Cr - Serum digoxin level 측정 (주로 2 초과일 때 증상유발) (therapeutic level : 0.5 - 2.0) - ECG 3. 치료 디곡신 중단 ! + 일시적 심장박..
급성 심장사 (SCD, Sudden Cardiac Death) 급성 심장사 3가지 유전질환 - Brugada syndrome - long QT syndrome - HCMP 1. 정의 : 급성 증상이 발생한 지 1시간 이내에 갑자기 의식 저하를 유발하는 심장 질환에 의한 자연사 2. 원인 - Coronary atherosclerotic heart dz : 80% (m/c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