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1 | Systole | S2 | Diastole | S1 |
AS/PS MR/TR MVP ( 여기에 ASMR만 채우면 다 채울 수 있음 ) |
AR/PR MS/TS |
* 심도자 소견
솟은 봉오리 = 수축기
내려가있는 상태 = 이완기
높이 솟은 봉오리 = Lt. ventricle
낮은 산 = Lt. atrium = PCWP
맨위 선 = artery (aorta)
MS
: 이완기에 atrium (LA) = PCWP 가 Lt. Ventricle 보다 높다
- 원래 이완기에 심방 = 심실인데 심방이 더 높은건
심실로 피가 못가기 때문이다
AS
: aorta (artery) 보다 Lt. Ventricle의 압력이 더 높다
MR
: 좌심방에 혈액이 역류해서 수축기때 좌심방 압력이 올라간다
AR
: ??
1. General consideration
- Etiology
: 여성에서 많음
: MV 문제는 Rheumatic heart dz와 관련
(류마티스열 얋고 약 20년 뒤에 MS 발생)
2. Pathophysiology
3. 증상
- 운동시 호흡곤란
- 폐부종
- 심방세동 : 심방벽이 늘어나서..?
- Thrombi and emboli : MS에 의해 확장된 LA appendage에서 생성
4. 신체진찰
- 청진시 apex에서 이완기 잡음
- S1, P2 : accentuation
S1↑ : MS로 인해 혈류속도 빠른 상태에서 갑자기 승모판 닫히면서 와류가 생김
( 원래 S1이 승모판, 심첨판 닫히는 소리 )
P2↑ : pulmonary venous HTN 생겨 폐동맥압 상승해서 세게 닫힘
- A2, P2 : narrow splitting
(cf. ASD : wide splitting)
- Opening snap (개방음)
5. 검사
- ECG
: LA enlargement
: 폐동맥고혈압 심하면 : RVH, Right axis deviation
: Atrial fibillation
- 심초음파
: M-mode
정상 - 큰봉우리 하나 작은 봉우리 하나
MS - 같은 높이 사다리꼴이 쭉 이어짐
6. 치료
① 약물치료
pulmonary edema와 AF에 대한 치료
1) BB, CCB ( verapamil, diltiazem ), Digoxin
2) 혈전 예방
: 항응고치료 - 무조건 Wafarin (목표INR : 2~3)
- DOACs 사용XXX
② 수술적치료
적응증
: 승모판막 면적 Mod (1~1.5), Severe ( <1)
+ 증상 동반
or + 무증상, pul. HTN
or + New onset AF
1) 경피적 판막 절개술 ( Percutaneous mitral ballon valvotomy )
= Intervention (카테터)
: 적응증 - no or mild MR & LA thrombus(-) & 판막 변형 가벼움
MS에 MR도 동반되었는지가 중요 !
2) 승모판막 치환술 ( Mitral valve replacement )
= 수술법 = 개흉술
: 적응증 - 카테터 적응증 외에
차이점
MS : Intervention > 개흉술
- intervention 적응증에 해당하면 개흉술을 통한 치료와 생존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서 intervention 선택 !
AS : 개흉술 > Intervention
MS, AS : Intervention (카테터) 가능
- 좁아진 부위를 넓히는 건 쉽다
MR, AR : Intervention 불가능
- 잘 좁아지지 않는 걸 카테터로 치료하기는 어렵다
'순환기내과 > 판막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삼첨판 역류 (TR, Tricuspid regurgitation) (0) | 2021.10.31 |
---|---|
대동맥판 역류 (AR, Aortic regurgitation) (0) | 2021.10.30 |
대동맥판 협착 (AS, Aortic Stenosis) (0) | 2021.10.30 |
승모판 탈출 (MVP, Miral valve prolapse) (0) | 2021.10.26 |
승모판 역류 (MR, Mitral regurgitation) (0) | 2021.10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