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77)
급성 폐부종 (Acute pulmonary edema) 급성 폐부종 - cardiogenic cause - non cardiogenic cause ⇒ 감별위해서 심초음파 * 급성 심부전/ 심장성 쇼크 / 급성 폐부종 - 조금 헷갈리지만 철저하게 구분할 필요는 없음 비슷한 임상 상황을 가지고 정의를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서 내렸느냐의 차이 ① 급성 심부전 (heart failure) : 심장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상태에 초점 ② Cardiogenic shock : 심장질환이 원인이 되어 혈압이 떨어지는 등 전신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긴 shock 상태에 초점 ( Heart failure 상태에 빠지면 cardiogenic shock을 잘 유발할 수 있음 ) ③ 급성 폐부종 (pulmonary edema) : 폐에 edema가 생기는 상태에 초점 급성 폐부종 ..
심장성 쇼크 (Cardiogenic shock)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급성심근경색이 가장 흔한 원인 ! 그 외에도 심근병증, 심근염 등등.. 1. 정의 Systemic arterial hypotension (
급성 비보상성 심부전 및 급성 폐부종 급성 비보상성 심부전 Acute decompensated HF = 심부전이 갑자기 악화되는 경우 1. 치료의 목표 ① 증상을 일으킨 혈역학적 상태를 안정화 ② 가역적인 원인을 찾아서 치료 ③ 질병의 진행 및 재발을 막기위한 효과적인 약물 요법 만성 심부전 : 장기 생존율 향상 ( 몇 주 , 몇 개월 ) 급성 심부전 : 증상 개선 ( 몇 일 ) 2. 급성 심부전의 원인 다양.. Ischemic heart dz - 우리나라의 m/c 3. 분류 및 치료 * 급성 심부전의 원인 4가지 * CI (Cardiac Index) : 낮아질 수록 CO 낮아짐 - 심장 문제라는 뜻 warm = 정상 + 정상 Profile A ( warm and dry ) : 정상 or 심장외 원인 = 정상 + 폐 문제 Profile B ..
만성 심부전의 치료 1. 만성 심부전 치료의 개요 심부전 진단시 폐에 물이 차있는지 확인 ( 거품소리, xray상 폐가 하얗다 ) ① 물O : 이뇨제 ② 물X : ACEi, BB 실패시 →ARB, Aldosterone antagonist Hydralazine/isosorbide, ARNI, Ivabradine 2. 일반 처치 - 일상적인 운동 - Na 제한 3. HFpEF (EF이 유지 [>40-50%] 되는 심부전) 치료 = 이완기 심부전 - 아직 효과가 입증된 치료는 없음 So, 원인 기저 심질환 (MI, HTN)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 호흡곤란시 : Na제한, 이뇨제, nitrate, ACEi/ARB, BB 4. HFrEF (EF이 감소 [
심부전의 원인, 증상, 진단 1. 심부전의 원인 1) 원인 인자 : Ischemic heart dz - 예방 가능한 원인 : Cardiomyopathy : Congenital, valvular, hypertensive heart dz - 교정 가능한 원인 2) 악화요인 : Infection : Arrythmia : Myocardial infarction : 고혈압의 악화 : 심근염 : Infective endeocarditis 2. 심부전의 분류 나누는 기준 ( Ejection Fraction = 구출률 = 심장에서 피를 내보내는 양과 관련 ) - EF가 40% 미만 심부전 = HFrEF 그 사이 = borderline EF - EF가 50% 이상 심부전 = HFpEF ( HFpEF는 심장의 이완기능 이상뿐만 아니라 심장외요인[혈관..
정상 심장 vs 심부전 심부전 (Heart failure) 정의 : 심장이 지친 상태 : 대사 요구량만큼의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심장의 수축/이완 기능과 관련된 구조적, 기능적 이상 상태 : 장기간 심장 기능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는 상태 - 진단명이 아닌 하나의 상태 ! 원인 : 판막질환, 허혈성 심장질환, 심근질환, 고혈압 : 빈혈, 갑상선 기능항진증, 빈맥 ... - 심장에 과부하를 줄 수 있는 모든 상황에서 유발 가능 기전 : 수축기능의 이상 - Cardiac output ↓ : 이완기능의 이상 - HCMP, RCMP, AS 심근손상 ← 영구적 심근손상 ↓ ↑ 심장 기능 저하 ↚ 이걸 끊어주는 약들 = RAAS, 교감신경계 억제 약물 ACEi, ARB BB Aldosterone antagonist ↓ ↑↑ RAAS, SA..
빈맥 - 심실성 - 심실세동(VF) & 심실조동(VFL) 1. 심실세동/조동을 동반하기 쉬운 조건 -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많이 생김 ( 관상동맥 중재술 중 .. ) - QT 간격이 길어지는 경우 : TdP 등에서 VF,VFL 동반 - WPW 증후군 + AF로 매우 빠른 심실 반응 - 전기감전 사고 2. 심실세동 (VF, Ventricular Fibrillation) : 심실 여러 부위가 불규칙하게 수축, 확장하여 ⇒ 심박출량 소실 : QRS군이나 T파를 감별할 수 없음 - 구분 안가게 지멋대로! 예후 (경색과 관련) : 급성 경색 후 48시간 이내 VF - 장기적 예후, 재발가능성, 급성 심장사 위험도 ↓ : VF와 경색이 관계없는 경우 - 1년 내 20~30%에서 재발 3. 심실조동 (VFL, Ventricular Flutter) : Sine wave ↝↝..
빈맥 - 심실성 - 심실빈맥 (VT), TdP 요약 Wide QRS(심실) , regular cf. irregular가 WPW with AF 어느정도 QRS파가 보이면 VT QRS가 이상하고 찌그러져있으면 VFib 심근 부위 문제생겼으므로 심근에 주로 작용하는 class 1, 3 계열 항부정맥제 자용 (1B- lidocaine, 3 - amiodarone) 심실빈맥 ( VT, Ventricular Tachycardia ) : 3개 이상의 심실조기박동(VPB)이 100회/min 이상의 속도로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 분류 지속성 (sustained) VT : 30초 이상, 혈역학적 불안정, 심근허혈 초래하므로 빨리 종료시켜야함! 1. Sustained monomorphic VT (QRS 모양 일정) 2. Sustained polymorphic VT (Q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