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Electrophysiology of heart
2. 부정맥의 발생기전
3. 부정맥의 치료
1) 항부정맥제
2) - 직류 심율동전환 (DC cardioversion) : 대부분의 치료 !
Ix : QRS파가 저상적인 AF, AFL, PSVT, 맥박있는 VT
↑↓둘의 가장 큰 차이점 : Synchronization ( 직류 심율동 전환 )
- 맥박이 만져지는 환자에서 QRS 파에 맞추어 전기충격 가함
- QRS를 읽을 수 있으므로 QRS가 정상적으로 나오는 부정맥에서 사용할 수 있음
( 심실상성 or 맥박있는 VT )
- 제세동 (Defibrillation) : 잔떨림을 제거 (세동 제거)
Ix : VF, pulseless VT
cf. 심실 재동기화 치료 : 좌각차단, 심부전
3) 삽입형 제세동기
Ix : 급성 심장사 위험이 높은 심실성 부정맥을 가진 사람
Cardiac arrest 에서 살아난 사람 (ROS)
4) Catheter ablation
심장 전도계의 우회로를 끊음
Ix : PSVT, AF
5) surgery
6) 인공 심박동기 (임시 or 영구)
심장이 뛰어야할 때 자극을 가해줌
Ix : 증상을 동반한 서맥성 부정맥
4. 항부정맥제의 분류
I : 심실근육에 작용 (VT - lidocaine)
IA
: 전도속도 느리게, 불응기 길게
1) Quinidine
2) Procainamide
3) Disopyramide
IB
: 불응기 짧게
1) Lidocaine
2) Phenytoin
3) Mexiletine
IC
: 전도 속도 느리게
1) Propafenone
2) Flecainide
II
B차단제 : 흥분성낮춰서 심박수 낮춤
: Propranolo, nadolol, atenolol
Esmolol
III : 심실근육에 장용 (VT - amiodarone)
K+ ch. blocker : 불응기 길게
1) Sotalol
2) Amiodarone
3) Bretylium
4) Ibutilide
5) Dofetilide
IV
CCB
: 흥분성 낮게해서 심박수 낮춤
1) Verapamil
2) Diltiazem
1. DHP CCB : 혈관에 작용 ( arteriole > vein ) => 혈관이완효과
: -dipine ( nifedipine, amlodipine )
1) 부정맥에 사용 X
2) 혈관 수축에 의한 증상에 사용 : 변이형 협심증, 레이노드병
3) 부작용 : 말초부종 + 두통, 홍조
- arteriole은 이완되고 vein은 그대로여서 capillary bed 로
유입되는 혈류는 늘어나지만 나가지 않아서 부종 일어남
4) Aortic dissection 에서는 사용 금기
- 말초로 가는 혈류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dissection flap 더욱 커짐
2. non - DHP CCB : 심장에 작용
: - dipine 이 아니다 ( ditiazem, verapaiml )
심근 수축력 감소 / 심장전도 지연을 통한 심박수 감소
Adenosine
: PSVT의 TOC
Digitalis
: 천천히 꾸~욱 세게 짜주게 하는 역할
'순환기내과 > 부정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빈맥 - 조기 박동 (심실상성 - APB / 심실성 - VPB) (0) | 2021.10.20 |
---|---|
서맥 - 전도장애 - 각차단 (Bundle Branch Block) (0) | 2021.10.20 |
서맥 - 전도장애 - 방실차단 (AV block) (0) | 2021.10.20 |
서맥 - 동결절 기능장애 (Sinus node dysfunction) (0) | 2021.10.20 |
부정맥의 분류 (0) | 2021.10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