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순환기내과/심혈관계 질환

심혈관계의 진찰

728x90

1. General considerations 

1) 유전/환경적 인자 발병 심질환 

  (1) Down 증후군 : VSD, AVSD (m/c) , ASD

  (2) Turner 증후군 : 대동맥 축착 

  (3) Marfan 증후군 : aortic dissection, aortic aneurysm 

 

2) 주요 증상

  (1) 부정맥 : 심장 두근거림, 우연히 ECG상 발견

  (2) 심부전 : 진행 정도 따라 심한 전신쇠약(악액질) 발생 가능 

     Right sided - 전신부종, 울혈성 간비대, 경정맥 확장 

     Left sided - 호흡곤란, 기좌호흡 ( 누우면 숨이 차고 , 앉아서만 숨쉴 수 있음 / 기좌 - 일어나고 앉아서만 숨쉰다..??)

  (3) 판막질환 

  (4) 심근질환 

  (5) 심막질환 - 급성 심막염 : 열을 동반한 흉통, 마찰음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- 심장눌림증, 교착심막염 : 기이맥 (흡기시 수축기혈압이 10이상 떨어짐) 


 2. 동맥압과 맥박

 기이맥 (pulsus paradoxus) : 흡기시와 호기시의 동맥압 차이가 10mmHg 이상 

: 흡기시 RV가 생리적으로 확장하면서 좌심실을 비정상적으로 압박함

  - 심낭삼출, 심장눌림증, (우심부전, 폐기종, 만성 천식) , 교착성 심막염 

 

 

기이맥 기전 

 - 원래 정상적으로 흡기와 호기시의 동맥압에 차이게 생기게 되는데 

  그게 10mmHg 이상이면 기이맥

 

 1) 심장을 둘러싼 공간이 딱딱하거나 물로 채워져서 한정된 경우 

: 흡기시

-> 흉강내가 음압이 되어 공기가 들어옴 

-> SVC, IVC의 정맥혈이 음압으로 인해 끌어당겨짐 (??) = RA 정맥환류 증가 

   & 폐 자체가 음압이니 끌어당겨져서 폐정맥의 혈액이 심장으로 안돌아감 = LA 정맥환류 감소

-> RA증가 후 RV증가하여 LV 압박하여  

-> CO 감소, 혈압 감소 

 

: 호기시 

-> 반대의 이유로 

-> RV 쪽으로 편향되어 LV prelad 증가하여 

-> CO증가, 혈압 증가

 

2) RV wall tension이 떨어져서 volume이 증가하느 상황

 : 우심부전, 폐기종, 만성천식 

RV wall의 긴장도가 떨어져서 잘 움직이는 건가.....?? 

 

흡기 : RV 부피가 워낙 커져서 심실중격을 LV쪽으로 편향

호기 : RV wall tension 이상으로 심실 중격이 RV쪽으로 편향 


 

3. 경정맥 박동 

 

1) 검사 방법

 

2) 경정맥압 

 (1) 정상소견 

 

 (2) 비정상소견 

  Kussmaul's sign : 정상적으로 흡기시에 경정맥압이 하강하는데 오히려 증가하는 경우 

   - 교착성 심낭염, R-CMP, 우심실 경색 

     : 딱딱하고 두꺼워진 심막으로 공간이 제약되어 /RA로 혈액 유입에 제한이 생기기에 /경정맥압 증가 

     

심장 눌림증 (Cardiac tamponade) : 기이맥 (O)  Kussmaul's sign (X)

 - K : 심낭 안에 effusion일어나 공간적인 여유가 있으므로 SVC에서 RA로 혈액 충분히 유입

교착성 심낭염 (Constrictive pericarditis) : 기이맥 (O) Kussmaul's sign (O) 

 - K : 딱딱해진 심막으로 공간이 없어서 경정맥압 증가

 

 - 기이맥 : 모두 심낭과 심막이라는 제한된 공간안에서 LV와 RV가 더 많은 피를 차지하려 경쟁하므로 공통적 


4. 전흉부 검사 

 


5. 청진 

1) 청진부위 

 

2) 심음 종류 

S1,S2는 정상 / 성인의 S3,S4는 병적 

 

심장 판막이 닫히는 순서 

: 수축 시작 -> 승모판 닫힘 ( S1) -> 대동맥판 열림 -> 이완시작 -> 대동맥판 닫힘 (S2) -> 승모판 열림

 대동맥판 열림 :   심실압력 > 대동맥압력 

 대동맥판 닫힘 :   심실압력 < 대동맥압력 

 

  (1) 제 1심음 

    : 승모판과 삼첨판이 닫힐 때 발생하는 소리 (소리는 승모판 소리) 

    : S1증가 -> MS (판막이 닫힐 때 심한 와류가 생기는 상황) 

    : S1증가 -> MR / 흉벽을 통해 소리가 잘 전달x (emphysema, pericardial effusion) 

 

  (2) 제 2심음

    : 대동맥판(A2)과 폐동맥판(P2)이 닫힐 때 발생하는 소리 (소리는 대동맥판&폐동맥판 소리) 

    : 흡기시 정상적으로 A2, P2 분열된다 [ 흡기시 폐로 들어오는 피가 많으므로 늦게 닫힌다 ] 

 

   ASD 의 fixed splitting (고정 분열)

    - 원래 흡기에만 분열되는데 ASD는 흡기, 호기 모두 분열 ! ( 항상 폐쪽으로 들어가는 피가 많음 ) 

    - 기전 

     흡기 : 정맥환류는 증가하지만 (음압이기때문에) / ASD를 통해 들어오는 shunt의 혈액량 감소 

     호기 : 정맥환류는 감소하지만 / ASD 통해 들어오는 shunt 혈액량이 증가 

      => 우심실로 들어오는 총 혈액량이 항상 비슷 

      => 어쨌든 ASD는 우심실로 들어오는 혈액량이 더 많기에 항상 폐동맥판이 늦게 닫힘 

 

      [ASD EKG : 우각 차단]

 

  Paradoxical splitting (기이성 분열) : P2->A2

    - 원래 A2->P2

    - aortic valve에 문제가 생겨 aortic valve가 늦게 닫혀 P2가 A2보다 먼저 들림

    -  호기 시 splitting이 최대, 흡기 시에는 감소

    ( 원래 흡기때 RV 정맥환류 증가하여 P2가 늦어져서 정상적인 분열되는데 

      흡기시에 제 2심음의 분열이 사라진다면 

      제 2심음의 먼저 들린 성분이 P2이고 

      뒤에 들린 A2와 합쳐졌음을 나타냄 ) 

 

 (3) 제 3심음 

 

 (4) 제 4심음 

 

 

3) 심잡음 

 (1) 심잡음의 기술 

  : 심잡음의 강도

    - Grade 1 : 조용한 방에서 겨우 들림 

    - Grade 2 : 청진기 대자마자 들리는 가장 약한 심잡음 

    - Grade 3 : 청진기로 매우 잘 들리지만 진전은 동반 X 

    - Grade 4 : 진전 (thrill) 동반 

    - Grade 5 : 청진기를 약하게 대어도 들림 

    - Grade 6 : 청진기 없어도 들린다 

        3/ 6 = 오른쪽 /왼쪽이 아니라 최대 심잡은 6도 중 3도 크기의 심잡음이 들림 

 

 (2) 심음과의 관계 

   ① Systolic murmur 

      - Holysystolic murmur : TR, MR, VSD ( 외우기 : PAN쓰 입은 미스터 TV나옴) 

      

   ② Diastolic murmur 

     

   ③ Continuous murmur 

      - PDA가 대표적 , AP (aortopulmonary window), AF (arterial fistula) 

 

   ④ 심낭 마찰음 (pericardial friction rub) 

      - pericarditis 

 

AS                  PS VSD(pan sys) ASD (splitting) PDA (con murmur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AR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TR (pan sys)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MS MR(pan sys) 

 


생리학적 및 약리학적 조작에 따른 심잡음..

몰라. 

 

 

 

 

 

'순환기내과 > 심혈관계 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흉통 ( Chest pain or chest discomfort )  (0) 2021.10.09
실신 (Syncope)  (0) 2021.10.09
혈압측정  (0) 2021.10.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