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순환기내과/심혈관계 질환

혈압측정

728x90

1. 혈압계의 선택 

: 공기주머니의 ↑폭(세로 길이)은 팔 둘레의 40%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↔길이(가로 길이)는 팔 둘레의 80% = 2/3 

 

 

2. 측정방법 : 사전 준비 → 촉진 → 청진기 

 1) 사전 준비 

   (1) 안정 상태에서 측정 : 30분 이상 커피, 흡연을 삼가고 / 5분간 안정 

   (2) 환자 자세 : 위팔동맥 ( 상완동맥, brachial artery )

 

 2) 촉진으로 대략적인 혈압 측정 

 혈압대의 위치 : 팔오금에서 2~3cm 위에 공기주머니 위치, 중앙에 위팔동맥이 오도록함

 

 3) 청진기로 정확한 혈압을 측정 

:  위팔동맥에 청진기를 bell로 놓기 

제 1 Korotkoff 음 = 수축기 혈압 ( Kortokoff 음이 처음으로 들릴 때 )

제 4 Korotkoff 음 = 확장기 혈압 ( Korotkoff 음이 완전히 사라질 때 )

 

 

* 혈압 

: 2회 측정하여 이를 평균한 값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

: 고혈압 진단 - ' 서로 다른 시간에 측정한 2회 이상의 혈압 ' 

 

 

3. 사지의 혈압

상지>하지 - Coarctaion of aorta

좌우 상지 혈압차 > 10mmHg - Takayasu's arteritis 

 

4. 혈압이 실제와 다르게 측정되는 경우

1) 혈압이 실제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 

 - 청진기를 세게 누른 상태 (turblent flow가 증가하여 제 1 korotkoff 음이 늦게 들려서 낮게 나옴) 

 - 팔을 심장보다 높게 위치했을 때 ( hydrostatic pressure 감소, 고층에서 수압 낮음 )

 - 공기주머니의 길이가 긴 경우

( 혈압측정 원리 : 공기주머니 압력을 높여 혈류의 흐름을 막았다가 압력을 낮추면서 / 혈압이 공기주머니 압을 이기는 순간 수축기 혈압 ! 

공기주머니가 길면 공기주머니 압을 조금만 해도 혈류를 차단하기가 쉬워져서 혈압이 낮게 나옴

↔ 공기주머니가 짧으면 팔전체 감지못해서 공기주머니 압력이 혈관에 제대로 미치지 못하고 혈관을 막기 위해서 실제보다 높은 압력이 필요해서 높게 측정)

 - 가면 고혈압 

 

 + 혈압대 감압 빨리 시킴 ( 놓칠 수 있어서?? ) 

 + 빗장밑동맥 협착 (동측으로 가는 혈류가 줄어 brachial a.에서 혈압재면 더 낮게 측정)

 

2) 혈압이 실제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 

- 동맥경화증 (가성 고혈압, 혈관이 막혀서 더 높게 측정된다, invasive하게 측정한 혈압이 정확한 혈압이므로)

- 팔을 지지하지 않고 늘어뜨린 채 측정 

- 공기주머니 길이가 짧음 

- 백의고혈압

 

5. 백의고혈압 vs 가면고혈압 

1) 백의고혈압 

: 진료실 혈압이 140/90mmHg 이상 / 가정혈압 or 평균 주간활동혈압이 135/85mmHg 미만 

평균주간활동혈압 = 아침혈압과 저녁혈압의 평균 (적어도 2번) 

- 좀 더 정상에 가까움

 

검사 : 1. 가정혈압 측정 (각자 정의 해당시 2. 으로)

        2. 24시간 활동혈압 측정 

 

치료 : 경과관찰 

 

2) 가면고혈압 

: 진료실 혈압이 140/90mmHg 미만 / 가정혈압 or 평균 주간활동혈압이 135/85mmHg 이상 

- 좀 더 고혈압에 가까움 

'순환기내과 > 심혈관계 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심혈관계의 진찰  (0) 2021.10.09
흉통 ( Chest pain or chest discomfort )  (0) 2021.10.09
실신 (Syncope)  (0) 2021.10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