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실신의 정의
: 뇌혈류량 감소로 인한 일시적 의식 소실
2. 실신의 원인 및 감별진단
신경심인성 실신 - 기립 경사 검사 = 머리기울임 검사
심장성 실신 - ECG, 심초음파 , 24시간 홀터 모니터링
약물 복용력 확인 (특히 전립선 비대증에서 a-blocker : a가 혈관수축)
3. 신경성 원인
1) 신경성 원인
: 부교감 신경↑ or 교감신경↓ 로 인한 저혈압으로 실신 발생
- 부교감 신경 ↑ : 심장에 영향을 주어 심장수축력감소 및 심박수 감소 (미주신경 활성화)
- 교감 신경 ↓ : 혈관 평활근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하여 혈압감소 (혈관반사가 적절히 일어나지 못함)
(1) 신경심인성 실신(neurocardiogenic syncope) : m/c
: Vasovagal syncope, Vasodepressor syncope
- Vasovagal syncope : 교감신경은 저하되고, 부교감 신경은 항진 (혈관 미주신경성 실신??)
- Vasodepressor syncope : 교감신경 저하만 있음
: 유발 인자 - 매우 덥거나 혼잡한 환경, 감정적인 스트레스
: 전구 증상 - 수초~수분 간 앚거나 선 자세에서 허약감, 오심, 발한, 어지러움, 시야흐려짐
<진단> 기립 경사 검사 (확진)
- 정상 : 일어나면 다리혈관으로 피가 쏠리면 보상기전으로 혈압 유지
- 신경심인성 실신 : 혈압과 심박수 감소 (보상기전 x)
<치료> 교육을 통한 예방
(2) 기립성 저혈압
- 원인 : 혈관운동반사의 만성적 불안정성
: 눕거나 앉은 자세에서 갑자기 일어설 때 발생
: 혈압강하제, 항우울증약물(TCA), 전립선비대증약물(a-blocker)
<진단> 누운상태에서 5분 후에 측정한 안정시 혈압에 비해
/ 일어선 직후 3분이내에 바로 측정한 혈압에서 수축기 >20, 이완기 >10 이상 떨어지는 경우
<치료> 유발 요인 제거
(3) 목동맥팽대 과민성
(4) 상황성 실신
2) 심혈관계 질환
(1) 대부분 부정맥에 의해 발생
(2) 서맥성 부정맥
(3) 빈맥성 부정맥
3) 뇌혈관계 질환
4) 감별진단
- 불안, 공황발작
- 저혈당
+ Vasoactive agent의 기전 및 효과에 관한 정리
a1 : 혈관에 존재 - 혈관 수축 - 혈압상승
b1 : 심장에 존재 - CO, 심박수 상승
b2 : 혈관에 존재 - 혈관 이완
Dobutamine : b1 adrenergic - CO상승 , 혈압낮춤 (고혈압에서 사용)
Dopamine : (low dose는 b1 자극), (high dose는 a1 자극) - CO 상승 (저혈압에서 사용)
Norepinephrine : a1 - 말초혈관 수축시켜 혈압 높임
- cardiogenic shock에서 preload 증가시키기위해 사용
'순환기내과 > 심혈관계 질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심혈관계의 진찰 (0) | 2021.10.09 |
---|---|
흉통 ( Chest pain or chest discomfort ) (0) | 2021.10.09 |
혈압측정 (0) | 2021.10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