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맥 - 전도장애 - 방실차단 (AV block)
거의 유일하게 ECG 보고 진단명 맞추는 문제
1. 이탈박동 (escape beat)
: 동결절의 자동능이 저하되어
동결절 이하의 자극전도계가 자극형성을 담당
⨠동결절이 아닌 다른 자극 전도계가 전기자극형성
2. 원인
- 약물 : BB, CCB, digitalis → 약물원인이면 치료로 중단
- 심근경색 ( 특히 하벽부 경색 )
⇨ 심근경색의 합병증으로 방실차단 나올 수 있음
⇨ Ⅱ, Ⅲ, avF ( inf. wall infarction )가 침범된 inferior wall MI에서 / 서맥 나타나면 / 방실차단 !
⇨ 치료는 역시나 증상있으면 pacemaker
3. 분류
1) 1도 방실차단 (P파 O)
: 방실전도 지연
- PR 간격이 길다
2) 2도 방실차단 (P파 O)
: 간헐적인 방실 사이 전도 차단
① Morbitz 1형
: PR 간격이 길어지다가 차단
- type 2보다 좋은 예후 ( 차단되기전에 조짐을 보였으니 더 낫다고 생각하자!)
- 하벽부 경색, 약물에서 동반
② Morbitz 2형
: PR 간격 그대로 가다가 갑자기 사라짐
- 완전 차단으로 진행가능해서 예후 나쁨
③ High degree AV block ( 고도 방실차단 )
: 2개 이상의 연속적인 P파가 전도 차단
3) 3도 방실차단 (완전차단) - 대부분 이거나옴 !!
: 심방의 신호가 심실로 전달되지 않음
- P파와 QRS파가 따로 따로 나타남
5. AV block에서 Pacemaker 치료의 적응증
2도 방실차단 (1,2) , 고도방실차단, 3도방실차단
<적응증>
: 증상 O ( 두근거림, 실신 )
: 운동유발성
: AF동반 & 5초 이상의 정지
+ 고도방실차단, 3도방실차단 : 증상 유발 약제 치료 필요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