순환기내과/심혈관계 질환

흉통 ( Chest pain or chest discomfort )

혜윰. 2021. 10. 9. 00:36
728x90

1. Guidelines and critial pathway for acute chest pain 

 

1) 흉통환자 반드시 시행 검사 

: ECG , CXR +_ 심근효소(심근경색 의심)

 

2) 허혈성 심장질환 의심 

 : 병력에 따라 nitroglycerin 설하 투여 

 : 응급실 방문 당시와 4시간 이후의 심전도, 심근 효소 검사

 

  •  별다른 금기 없는 협심증 환자 (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유발 검사 ) 

  - 1.운동부하 심전도 2. 부하 심초음파 3. 부하 심근관류스캔

 

 cf. 금기 [지속적 흉통, 안정시 흉통, 이상 ECG 소견이 Old infarct 에 의한것인지 확신 못함 ] 

   - 휴식시 심근관류 스캔으로 대체

 

대동맥 박리 

: line 잡고 빨리 contrast enhanced CT 진행 

폐색전증 

: D-dimer검사, contrast enhanced chest CT or 폐혈관 조영술

 


심근 허혈 유발 쉬운 질환 

1. H-CMP : 흉통 +_ 심실 중격의 비대, 급사의 가족력 

2. Aortic stenosis : 흉통 +_ 좌심실 비대, 복장뼈 오른쪽 2번째 갈비사이공간 수축기 잡음 

3. 폐동맥 고혈압 : 흉통+_ 우심실 비대 

-> 이 3가지는 심근비대 유발 (비대된 심근은 더 많은 혈액필요하여 심근허혈)

4. Aortic regurgitation : 흉통 +_ 이완기 혈압이 비상적으로 낮음, 복장뼈 왼쪽 3번째 확장기 잡음 

-> AR은 대동맥 이완기 혈압이 유지 되지 않음  so 관상동맥으로 가는 혈류 감소하여 심근허혈

 


흉통 4대 응급질환

1.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

2. 대동맥 박리

3. 폐색전증

4. 기흉

 

+대동맥판 협착증

+안정협심증

+폐동맥 고혈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