순환기내과/심장 응급 질환

급성 폐부종 (Acute pulmonary edema)

혜윰. 2021. 10. 24. 18:02
728x90

급성 폐부종 

- cardiogenic cause 

- non cardiogenic cause

 ⇒ 감별위해서 심초음파 

 

 

 

* 급성 심부전/ 심장성 쇼크 / 급성 폐부종

 

 - 조금 헷갈리지만 철저하게 구분할 필요는 없음 

  비슷한 임상 상황을 가지고

  정의를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서 내렸느냐의 차이 

 

① 급성 심부전 (heart failure) : 심장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상태에 초점

 

② Cardiogenic shock : 심장질환이 원인이 되어 혈압이 떨어지는 등 전신 혈액 순환에 문제가 생긴 shock 상태에 초점

( Heart failure 상태에 빠지면 cardiogenic shock을 잘 유발할 수 있음 ) 

 

③ 급성 폐부종 (pulmonary edema) : 폐에 edema가 생기는 상태에 초점

 


급성 폐부종 

 

1. 증상

 

- 휴식을 취해도 계속되는 호흡곤란 (숨이 차서 내원)

- Rale, wheezing

- Hypertension 


2. 진단 

 

- Echocardiography with color doppler 

: 폐부종이 cargiogenic 인지 noncardiogenic인지 감별 가능 

 

- ST elevation on ECG → acute MI 

 

- BNP : HF가 원인임을 시사 

 

- Swan-Ganz catheter : PCWP (18이상)이면 cardiogenic origin 시사 


3. 치료 

① 산소투여 ② preload 감소

 

① 산소투여

 - 산소요법 

 - 양압환기 (PEEP) 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 

 

② preload 감소

 1. Diuretics 

   - Loop diuretics : furosemide ( k+ 낮춰줌)

 

 2. Nitrate 

  : Venodilator (정맥이완제), Coronary artery 도 확장 

   - Nitroglycerin

   - Nitroprusside : 주로 arterial vasodilation

 

 3. Morphine 

   : Venodilator (호흡곤란 개선) + 불안감소 

 

 4. ACEi 

   : 고혈압환자에서 일반적으로 추천 (SBP>100)

 

 5. Inotropic

    - Dopamine, dobutamine 

    - digitalis (요즘 잘 사용 X)

    - IABP (모든치료에 불응인 경우 수술까지의 시간을 벌어줌)


외우는 법 

니 (Nitroglycerin) 폐에 거품 (F.O.A.M) 제거~ 

   Furosemide, O2, ACEi, Morphine